※주의※
저의 풀이가 정답은 아닙니다.
다른 코드가 더 효율적이거나 좋을 수 있습니다.
언제나 다른 사람의 코드는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.
[문제 풀이 사이트]
1003번: 피보나치 함수
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0이 출력되는 횟수와 1이 출력되는 횟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한다.
www.acmicpc.net
[문제 설명]
다음 소스는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C++ 함수이다.
int fibonacci(int n) {
if (n == 0) {
printf("0");
return 0;
} else if (n == 1) {
printf("1");
return 1;
} else {
return fibonacci(n‐1) + fibonacci(n‐2);
}
}
fibonacci(3)을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.
- fibonacci(3)은 fibonacci(2)와 fibonacci(1) (첫 번째 호출)을 호출한다.
- fibonacci(2)는 fibonacci(1) (두 번째 호출)과 fibonacci(0)을 호출한다.
- 두 번째 호출한 fibonacci(1)은 1을 출력하고 1을 리턴한다.
- fibonacci(0)은 0을 출력하고, 0을 리턴한다.
- fibonacci(2)는 fibonacci(1)과 fibonacci(0)의 결과를 얻고, 1을 리턴한다.
- 첫 번째 호출한 fibonacci(1)은 1을 출력하고, 1을 리턴한다.
- fibonacci(3)은 fibonacci(2)와 fibonacci(1)의 결과를 얻고, 2를 리턴한다.
1은 2번 출력되고, 0은 1번 출력된다. N이 주어졌을 때, fibonacci(N)을 호출했을 때, 0과 1이 각각 몇 번 출력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[입력]
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
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, N이 주어진다. N은 4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.
[출력]
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0이 출력되는 횟수와 1이 출력되는 횟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한다.
[입출력 예]
입력 | 출력 |
3 0 1 3 |
1 0 0 1 1 2 |
2 6 22 |
5 8 10946 17711 |
[문제 풀이]
DP 문제 예시로 많이 언급되는 피보나치 수열 문제이다.
나는 너무 당연하게 메모이제이션을 하면서 0과 1이 호출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카운트 횟수를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했다.
#include <bits/stdc++.h>
using namespace std;
using ull = unsigned long long;
ull dp[41];
int one, zero;
ull fibo(int n) {
if(n == 0) {
zero +=1;
return 0;
}
if(n == 1) {
one += 1;
return 1;
}
if(dp[n] > -1) {
return dp[n];
}
return dp[n] = fibo(n - 1) + fibo(n - 2);
}
int main(void) {
int T; cin >> T;
fill(dp, dp + 41, -1);
for(int i = 0; i < T; ++i) {
int N; cin >> N;
one = 0; zero = 0;
fibo(N);
cout << zero << ' ' << one << '\n';
}
}
하지만 시간 초과가 발생했다.
혹시나 ios_base::sync_with_studio(false); cin.tie(nullptr); 이부분을 추가하지 않아서 발생했나하고 해봤는데도 시간 초과였다.
일단 현재 작성한 코드에서는 더이상 시간을 줄일 수 없다고 판단했다.
그래서 문제를 다시 보고 N = 0일 때부터 0이 호출되는 횟수, 1이 호출되는 횟수를 적어보기로 했다.
그렇다면 우선
1. 테이블을 정의한다.
zerodp[N] = N의 값에 따른 0이 호출되는 횟수
onedp[N] = N의 값에 따른 1이 호출되는 횟수
2. 점화식을 정의한다.
N의 값 | N = 0 | N = 1 | N = 2 | N = 3 | N = 4 | N = 5 |
0 호출 횟수 | 1 | 0 | 1 | 1 | 2 | 3 |
1 호출 횟수 | 0 | 1 | 1 | 2 | 3 | 5 |
위 내용으로 점화식을 정의하자면,
0이 호출되는 횟수, 1이 호출되는 횟수 모두 피보나치 수열과 같은 점화식을 가진다.
zerodp[N] = zerodp[N - 1] + zerod[N - 2];
onedp[N] = onedp[N - 1] + onedp[N - 2];
3. 초기값을 정의한다.
zerodp[0] = 1, zerodp[1] = 0
onedp[0] = 0, onedp[1] = 1
초기값은 위와 같이 정할 수 있다.
위 내용을 기반으로 Bottom - Up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했다.
[최종 코드]
[GitHub]
GitHub - SmallPeanutPark/BAEKJOON: Study BaekJoon for Coding Test
Study BaekJoon for Coding Test. Contribute to SmallPeanutPark/BAEKJOO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#include <bits/stdc++.h>
using namespace std;
using ll = long long;
int main(void) 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nullptr);
ll zerodp[41]; ll onedp[41];
zerodp[0] = 1; zerodp[1] = 0;
onedp[0] = 0; onedp[1] = 1;
for(int i = 2; i <= 40; ++i) {
zerodp[i] = zerodp[i -1] + zerodp[i - 2];
onedp[i] = onedp[i - 1] + onedp[i - 2];
}
int TC;
cin >> TC;
for(int i = 0; i < TC; ++i) {
int n; cin >> n;
cout << zerodp[n] << ' ' << onedp[n] << '\n';
}
}
'PS > 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aekJoon 12015번]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2(C++) (0) | 2022.08.18 |
---|---|
[BaekJoon 11053번]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(C++) (1) | 2022.08.17 |
[BaekJoon 2193번] 이친수(C++) (0) | 2022.08.16 |
[BaekJoon 25416번] 빠른 숫자 탐색(C++) (0) | 2022.08.16 |
[BaekJoon 1904번] 01타일(C++) (0) | 2022.08.16 |
댓글